태풍 실시간 위치 확인 사이트

0
3731

Earth.nullschool.net 지구의 현재와 과거의 날씨 상태를 시각화하는 웹 사이트입니다.

왼쪽 하단에 earth 메뉴를 클릭하시면 제어판을 확인하실 수 있는데 제어판을 통해 여러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기모드

모드

모드를 통해 공기,해양, 화학물질, 미세먼지, 천문 등의 데이터를 볼 수 있으면 초기 모드는 공기 즉 태풍 및 바람의 방향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제어

제어 화살표 버튼을 통해 과거의 데이터도 확인할 있습니다. << 버튼은 하루 전으로 이동하며 < 버튼은 3시간 단위로 이동합니다.

오버레이

오버레이를 통해 바람 뿐만 아니라 온도, 상태습도, WPD, 3HPA, CAFE, TPW, TCW, MSLP, MI 등의 데이터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바람 – 시간당 킬로미터(km/h) 단위로 측정된 지정된 높이에서의 풍속을 보여줍니다.
  2. 온도– 섭씨(C°) 단위로 측정된 지정된 높이에서 공기 온도를 표시합니다.
  3. 상대습도– 백분율(%)로 측정된 지정된 높이에서 상대 습도를 나타냅니다.
  4. WPD– 바람에 의한 동력 측정값: ρvv3여기서 θ는 공기 밀도, v는 킬로와트/미터(kW/m)로 측정한 풍속입니다.2).
  5. 3HPA– 다음 3시간 동안 발생할 강수량 누적을 mm 단위로 나타냅니다.
  6. CAFE– 표면으로부터의 대류 가능 위치 에너지를 측정한다. 이는 공기의 부력 측정값, 대기 불안정성 측정값, 킬로그램당 줄 단위로 측정된 혹독한 날씨의 예측값이다.
  7. TPW– 땅에서 우주로 뻗어나가는 공기 기둥의 총 물의 양을 평방 미터 당 킬로그램 단위로 측정합니다.
  8. TCW– 지상에서 우주로 이동하는 공기 기둥에 있는 구름 속 물의 총량을 평방 미터 당 킬로그램 단위로 측정합니다.
  9. MSLP– 해수면에 맞춰 조정된 공기압(평균 해수면 압력) 및 헥토파스칼(hPa) 단위로 표시합니다.
  10. MI– 섭씨 등가(C°)로 측정된 비참 지수를 결정합니다.

해양모드

오버레이

  1. 해류– 오버레이는 해수면 해류의 흐름 패턴과 이동 속도를 초당 미터 단위로 보여줍니다.
  2. 파도– 방향(방위 시스템을 사용하는 도 단위)과 파동 주기로 측정한 상대 속도를 초 단위로 표시합니다.
  3. HTSGW– 유의한 파고의 측정값을 미터 단위로 나타냅니다.
  4. 해수면온도– 해수면의 해수면 온도를 섭씨(C°) 단위로 표시합니다.
  5. 해수면 이상 수온– 1981-2011년 기후 정상 기간과 해수면 온도 이상 차이(섭씨)

화학물질 모드

중국, 인도 등에서에서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이산화황을 배출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미세먼지 모드

한국사람들이면 태풍과 함께 관심있게 보는 미세먼지 모드 입니다. 대체로 사막이 있는 아프리카, 중동 중국에서 많은 양의 미세먼지 수치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DUex: 분진 소광 계수 (에어로졸 광학적 두께, 550nm)
  2. PM1: 초미세먼지 < 1 µm
  3. PM2.5: 초미세먼지 < 2.5 µm
  4. PM10: 초미세먼지 < 10 µm
  5. SO4ex : 황산염 소광 계수 (에어로졸 광학적 두께, 550n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