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페이지 이름이 바뀌면서 도메인도 바뀌어 워드스레스 주소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의 경우 회사 이름이 바뀌면서 개발환경 URL이 변경되어 10개가 넘는 워드프레스 주소를 변경을 해야했습니다.
워드프레스 주소 변경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오늘 알려드릴 내용은 플로그인 설치해서 쉽게 하는 방법과 DB를 내려받아 수정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플러그인으로 워드프레스 주소 변경
처음에는 플러그인으로 변경하는 방법을 택하여 쉽게 워드프레스 주소를 변경했습니다.플러그 이름은 AutoMatic Domain Changer 입니다. 플러그인 > 새로추가 메뉴로 들어와서 검색을 해서 설치합니다. 그리고 활성화 버튼을 눌러주면 설치가 됩니다.

설치 후 도구 > Change Domain 메뉴로 들어가면 설정할 수 있습니다.

Change domain from: 은 현재 자신의 도메인이고 Change domain to: 는 변경될 도메인을 입력합니다.
아래 두 옵션도 클릭해줍니다.
- Change both www.old-domain.com and old-domain.com links
- I have backed up my database, checked the backups integrity, know how to restore it, and will assume the responsability of any data loss or corruption.
그리고 Change domain 을 클릭하면 워드프레스 주소 변경이 됩니다.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수정으로 워드프레스 주소 변경
개발환경 사이트가 SSL이 적용된 사이트였는데 위의 방법으로 하니 Mixed Content Error 메시지가 출력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몇몇의 페이지의 파일들의 주소가 https 로 변경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완벽하게 에러없이 변경하기 위해서 DB를 내려받아서 직접 URL 을 변경하는 방법을 택했습니다.
저는 HeidiSQL 툴을 가지고 DB를 관리하는데요. DB을 export 해서 URL을 수정 후 DB를 import 하는 방식으로 처리했습니다. HeidiSQL 은 아래 주소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HeidiSQL : https://www.heidisql.com/download.php
HeidiSQL 설치, 로그인 후 해당 사이트의 DB를 선택하고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고 데이터베이스를 SQL로 내보내기를 선택합니다.

선택하시면 내보내기 옵션들이 나오는데 아래와 같이 옵션을 수정 후 저장할 곳을 저장 후 내보내기 버튼을 누르면 DB가 저장됩니다.

텍스트에디터로 sql 파일을 불러온 다음 찾기기능으로 현재 사용중인 URL을 검색합니다. 검색이 완료되면 바꾸기 기능을 통하여 URL을 변경하여 다시 저장합니다.

다시 HeidiSQL 로 돌아와서 기존 테이블들은 삭제를 시킵니다.

파일 > SQL 파일 실행 메뉴를 선택 후 조금전에 저장한 DB 파일을 선택하면 DB 파일을 import 처리 됩니다.

이후 수정된 URL로 접속하면 워드프레스 주소 변경 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